
1. 사용자 생성 및 계정 관리 사용자 관련 명령어 {useradd}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생성된 사용자 계정 정보는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에 저장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useradd [옵션] [계정명] 옵션 -c : 사용자 계정에 설명 추가 -d : 사용자 계정의 홈디렉터리 설정 -e : 사용자 계정의 유효 기간 설정 -f : 패스워드가 만료된 후 계정의 만료 날짜 지정 -G : 사용자 계정의 새로운 그룹 추가 -s :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기본 셸 지정 {passwd}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변경 및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생성된 패스워드의 정보는 암호화되어 '/etc/shadow' 파일에 저장된다...

디렉터리 최상위 디렉터리( / ) 아래로 계층적인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 최상위 디렉 터리 로 루트( / ) 디렉토리라고 함 /bin : 'System Binary'의 약어로 이진 파일이며, 리눅스에서 기본 명령어가 지정된 디렉터리 /usr :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디렉터리 /etc : 리눅스 시스템의 각종 환경설정 파일과 디렉터리가 저장된 디렉터리 /sbin : 시스템 관리를위한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 /lib : 프로그램의 각종 라이브러리 파일이 저장된 디렉터리로 유틸리티(Utility), 패키지(Package) 등의 파일 포함 /var :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적인 파일을 저장하느 디렉터리 각종 시스템 로그파일, 사용자 로그인에 대한 로그 기록 메일서버를 운영한다..
anaconda 리눅스 버전 window7.iso 혹은 window10.isoagent.py bash Anaconda3-2023.09-0-Linux-x86_64.sh(엔터 + q)(엔터)[no] >>> yes[/home/master/anaconda3] >>> (엔터)[no] >>> (yes)sudo reboot리부트 하면 (base) 환경으로 바뀜conda update -n base condaconda create -n py27 python=2.7conda activate py27 py27 가상 환경으로 접속 아나콘다 설치 후 입력할 명령어 sudo apt install net-toolsifconfigsudo apt-get -y install openssh-serversudo apt-get -y inst..
alias : 별칭으로 지정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해주는 명령어이다. arp : ARP 테이블을 설정하고,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awk : 원본 문서에서 특정 패턴을 검사한 후 원하는 값을 얻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bg :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하는 명령어이다. bzcat, zcat : 압축된 상태로 압축 파일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bzip2, bunzip2 : bzip2 압축 및 해제, 파일 확장자는 '*.bz2' 이다. cal : 달력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cancel : 프린터 작업을 취소하는 명령어이다(System V 계열) cat : 파일 내용을 출력하거나, 두 개의 파일 내용을 합치는 명령어이다. cd :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chattr : 파일의..
{OSI 7 layer} Application Layer - DNS, FTP, HTTP, NTP, SMTP Presentation Layer - 압축, 암호화, 복호화, 데이터변환 Session Layer - NetBIOS, 인증 및 허가 Transport Layer - TCP, UDP Network Layer - IP, ECMP, IPsec Data Link Layer - ARP, MAC Physical Layer - 블루투스, USB, RS-232 {TCP/IP Model} Application Layer Transport Layer INternet Layer Network Interface TCP : 무조건 가야되는 것들 UDP : 굳이 안가도 되는 것들 시그니쳐 : 특정 문자가 들어 있는지 탐지 ..
Server - Client 서버 :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받으려고 하는 장치 스위치 : 여러대의 컴퓨터를 모아두는 곳 라우터 : 외부 컴퓨터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정해주는 것 Ethernet, Bluetooth(10m), Access point(공유기) WEP(취약), WPA, WPA2 brute forcing (0부터 999까지) 사회공학적기법 1. usb 2. 술자리 3. 피싱메일 {Port number, Portocol} 20 : FTP(file transfer protocol) data transfer 21 : FTP(file transfer protocol) command 22 : SSH(secure shell) 23 : Telnet(..
1. 하드웨어 종류 {연산제어장치} - 메인보드 CPU가 장착되는 곳이며 다른 모든 하드웨어가 실행되는 허브입니다. 마더보드는 필요한 곳에 전원을 할당하고 다른 모든 구성 요소와 통신하고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두뇌 역할을 하며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하드웨어 중 하나이다. - CPU 중앙처리장치 또는 프로세서(CPU)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모든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그래픽카드 3D 렌더링에 특히 중요한 GPU는 이름에서 알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며 엄청난 양의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한다. 중앙처리장치를 보완하는 역할도 한다. - 랜 카드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간의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장비이다. {입력장치} 키보드, 마우스, 태블릿, 조이스틱 {기억장치} - ROM(비휘발성) R..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DB) 란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함. 이번 내용은 위 사진과 똑같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만드는 과정이다.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sudo mysql -uroot -p'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접속이 완료되면 'mysql>' 프롬프트로 변경된다. ' show DATEABASES; ' 명령어로 현재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 CREATE DATABASE 테이블 명; ' 명령어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 show DATABASES;' 명령어를 입력하면 APS 데이터베이스가 새롭게 추가된걸 볼 수 있음 ' DROP DATABASE APS; ' 명령어로 기존에 있거나 새롭..
- Total
- Today
- Yesterday
- kali
- 기본 명령어
- 리마2급
- LVM
- 메타스플로잇
- 피자나눠먹기3
- 피자나눠먹기1
- XAMPP설치
- 더 메뉴
- 리눅스
- VS Code
- 피자나눠먹기2
- 짝수는싫어요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 나머지구하기
- php
- 리눅스마스터
- TCP/UDP
- 기본문법
- PHP 개발환경
- XAMPP
- 리눅스마스터2급
- 아파치
- visualcode
- 개발환경구축
- OSI 7계층
- 네트워크
- PHP 문법
- 중앙값구하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