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사용자 생성 및 계정 관리
사용자 관련 명령어
{useradd}
-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 생성된 사용자 계정 정보는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에 저장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useradd [옵션] [계정명]
옵션
-c : 사용자 계정에 설명 추가
-d : 사용자 계정의 홈디렉터리 설정
-e : 사용자 계정의 유효 기간 설정
-f : 패스워드가 만료된 후 계정의 만료 날짜 지정
-G : 사용자 계정의 새로운 그룹 추가
-s :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기본 셸 지정
{passwd}
-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변경 및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 생성된 패스워드의 정보는 암호화되어 '/etc/shadow' 파일에 저장된다.
패스워드 관리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passwd [옵션] [계정명]
옵션
-d :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삭제
-l : 사용자 계정을 잠금(lock) -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불가
-S : 계정 상태 출력
- - PS : 정상
- - NP : 패스워드가 설정 안됨
- - LK : 잠금(lock) 상태이거나 NP 상태
-u : 잠금(lock) 상태의 사용자 계정을 해제(unlock) -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
{su}
'Switch User(또는 Substitute User)'의 약어로 현재 사용자 계정에서 로그아웃하지 안혹,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명령어 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su [옵션] [사용자] [셸 변수]
옵션
-, -l, --login : 사용자의 환경변수를 적용하여 로그인
-c : 셸을 실행하지 않고 주어진 명령어 실행
-s : 지정된 셸로 로그인
사용자 계정 관리
{usermod}
-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 사용자의 계정명, UID, GID, 홈 디렉터리 등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usermod [옵션] [설정값] [계정명]
옵션
-c : 설명 변경
-d : 사용자 홈 디렉터리 변경
-e : 계정 만료일 변경
-f : 사용자 계정 유효일 지정
-g : GID 변경
-G : 지정한 그룹에 사용자 추가
-s : 로그인 시 사용할 기본 셸 지정
-u : UID 변경
{userdel}
- 사용자 계정 정보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 옵션 지정 없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삭제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usermod [옵션] [계정명]
옵션
-r :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의 정보와 '/var/spool/mail/ 계정 파일'과 홈 디렉터리의 모든 내용을 삭제
사용자 정보 조회 명령어
{users}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users
{W}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자세히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
{who}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간단히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ho [옵션]
옵션
-a : 모든 정보 출력
-H : 각 필드의 제목과 함께 출력
-u : 사용자의 ldle Time 확인
{whoami}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hoami
{id}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UID, GID, GROUP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id
2. 그룹 생성 및 그룹 관리
그룹 관리 명령어
{groupadd}
그룹 생성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groupadd [옵션] [그룹명]
옵션
-g : GID 지정
-o : -g 옵션과 같이 사용되며, GID 중복 허용
-r : 시스템 그룹 생성 시 사용하며, GID 499번 이하 값 지정
{groupdel}
그룹 삭제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groupdel [그룹명]
{groupmod}
그룹 정보 변경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groupmod [옵션] [그룹명]
옵션
-g : GID 변경
-n : 그룹명 변경
그룹 관련 파일
/etc/group 파일
- 사용자 그룹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다.
- 4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룹명, GID, 소속된 사용자 등을 저장한다.
파일 구조
groupname : password : gid : members
/etc/gpasswd 파일
- 그룹의 패스워드가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다.
- 4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룹명, 패스워드 등을 저장한다.
파일 구조
groupname : password : owner : members
groups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groups
3. 디렉터리 및 파일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mkdir}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mkdir [옵션] [디렉터리명]
옵션
-m : 디렉터리 생성 시 권한 설정
-p : 하위 디렉터리를 한 번에 생성
-v : 디렉터리 생성 후 생성된 디렉터리 정보 출력
{rmdir}
- 디렉터리 삭제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빈 디렉터리만 가능하며,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존재하면 삭제할 수 없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home]# rmdir [파일명]
{cd}
- 디렉터리 이동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디렉터리는 절대 경로와 상대 결로로 지정할 수 있다.
- 절대 경로 : 최초의 시작점으로 경유한 결로를 전부 기입하는 방식이다. 즉, 루트 디렉터리를 포함한 주소를 갖는 경로를 말한다.
- 상대 경로 : 기준 경로를 기준으로 절대 경로가 구성되며, 루트 디렉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주소를 갖는 경로를 말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d [대상 디렉터리]
옵션
~ :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 : 현재 디렉터리
.. : 한 단계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pwd [옵션]
옵션
-L : 심볼릭 링크 안에 있다면 그대로 심볼릭 링크의 경로를 표시(logical location)
-P : 심볼릭 링크 안에 있다면 심볼릭 링크가 가리키는 원래 디렉터리의 경로를 표시(physical location)
링크
- 하드 링크 : 원본 파일과 동일한 I-Node 값을 가졌기 때문에 원본 파일이 삭제되더라도 원본 파일의 I-Node를 갖고 있는 링크 파일은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
- 심볼릭 링크 : 원본 파일과 다른 I-Node 값을 가졌으며 원본 파일의 이름을 가리키는 링크이다. 따라서 원본 파일이 삭제되면 링크 파일을 사용할 수 없다.
파일 관련 명령어
{ls}
디렉터리 안의 파일이나 디렉터리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ls [옵션] [디렉터리명]
옵션
-a : 숨김 파일을 포함한 모든 목록 출력
-d : 디렉터리 목록만 출력
-F : 파일이 디렉터리인 경우 / (슬러시), 실행 파일인 경우 * (별표), 소켓 파일인 경우 = (등호), 심볼릭 링크인 경우 @ (골 뱅이)를 파일 뒤에 표시 후 출력
-l : 파일의 모드, 링크 수, 소유자, 크기, 최종 수정 시간 등을 상세히 출력
-m : 쉼표(,)로 구분하여 출력
-r : 파일이나 디렉터리명의 알파벳 역순으로 출력
-R : 하위 디렉터리 목록까지 순차적으로 출력
-s : 킬로바이트(Kbyte) 단위로 출력
-t : 최종 수정 시간을 기준으로 출력
{cp}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p [옵션] [원본 파일/디렉터리] [대상 디렉터리]
옵션
-b : 원본과 동일한 파일명이 존재할 경우, 원본 파일의 복사본을 만듦
-f : 원본과 동일한 파일명이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여부를 묻지 않고 복사
-i : 원본과 동일한 파일명이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여부를 묻고 복사
-p : 원본과 동일 모드, 소유자, 시간 정보를 유지하고 복사
-P : 원본이 디렉터리 경로와 함께 지정되었을 경우, 지정된 디렉터리 경로를 그대로 복사
-r :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두 복사
-S : 원본과 동일한 파일명이 존재할 경우, 백업파일을 생성하지만, 백업파일의 끝에 붙여질 접미사(확장자)를 원하는 이 름으로 지정
-u : 원본과 동일한 파일명이 존재할 경우, 원본 파일이 대상 파일보다 최신 파일일 경우에만 복사
{mv}
- 파일이나 디렉터리 이동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파일이나 디렉터리 이름 변경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mv [옵션] [원본 파일/디렉터리] [대상 파일/디렉터리]
옵션
-b : 원본 파일과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원본 파일의 복사본을 만듦
-f : 원본 파일과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여부를 묻지 않고 이동
-i : 원본 파일과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여부를 묻고 이동
-u : 원본 파일과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원본 파일이 대상 파일보다 최신 파일인 경우에만 이동
-v : 파일 옮기는 과정 출력
{rm}
파일이나 디렉터리 삭제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rm [옵션] [파일/디렉터리명]
옵션
-d : 디렉터리 삭제(디렉터리 안에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존재할 경우 삭제되지 않음)
-f : 삭제 여부를 묻지 않고 삭제
-i : 삭제 여부를 묻고 삭제
-r :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 삭제
-v : 삭제 과정을 출력
{touch}
- 파일 크기가 0바이트인 빈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 현재 시간으로 파잉릐 접근 시간, 수정 시간, 변경 시간 등의 타임 스탬프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touch [옵션] [설정값] [파일/디렉터리명]
옵션
-a : 현재 시간으로 파일의 접근 시간, 변경 시간을 수정
-c : 기존 파일이 없으면 파일이 생성되지 않음
-d : 지정한 시간으로 접근 시간, 수정 시간이 수정되고, 변경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 수정
-m : 현재 시간으로 파일의 수정 시간, 변경 시간을 수정
-r : 지정한 파일의 접근 시간, 수정 시간으로 파일이 수정되고, 변경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 수정
-t : 지정한 시간으로 접근 시간, 수정 시간이 수정되고, 변경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 수정
{file}
파일의 유형 및 속성 확인 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file [옵션] [파일/디렉터리명]
옵션
-b : 지정한 파일명은 출력하지 않고, 파일의 유형만 출력
-f : 파일 목록에서 지정한 파일들에 대해서만 명령 실행
-i : MIME 타입 문자로 출력 (ascii text를 text/plain; charset=us-ascii 형태로 출력)
-L : 심볼릭 링크된 파일을 추적하여 원본 파일 정보 출력
-z : 압축된 파일의 내용 출력
{find}
주어진 조건에 맞게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검색하여 경로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find [경로] [옵션] [설정값1, 설정값2...]
옵션
-delete : 검색된 파일이나 디렉터리 삭제
-empty : 크기가 0인 파일이나 빈 디렉터리 검색
-exec : 검색된 파일에 대하여 지정된 명령 실행
-name : 지정된 문자열 패턴을 기준으로 검색
-print : 검색 결과 출력, 검색 항목은 새로운 행으로 구분
-size : 파일 크기를 기준으로 검색
-type : 파일 유형을 기준으로 검색
-atime : 접근 시각을 기준으로 검색
-ctime : 속성 변경 시각을 기준으로 검색
-mtime : 데이터 수정 시각을 기준으로 검색
{locate}
- 파일의 위치를 검색하는 명령어이다.
- 미리 만들어 놓은 DB 파일에서 파일을 검색하기 때문에 빠른 검색이 가능하지만 DB 파일을 업데이트하지 않으면 최근에 삭제된 파일도 검색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locate'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에 'updatedb'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 좋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locate [옵션] [파일명]
옵션
-e : 검색에서 제외할 디렉터리 지정
-n : 지정한 개수만큼 검색
{whereis}
명령어의 바이너리(실행 파일), 소스, 매뉴얼 파일의 위치를 검색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hereis [검색할 명령어]
{which}
명령어 실행 파일(또는 링크)의 위치를 검색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hich [검색할 명령어]
파일 내용 출력 명령어
{cat}
파일 내용을 출력하거나 두 개의 파일 내용을 합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at [옵션] [파일명]
옵션
-b : 화면 왼쪽에 행 번호 출력(비어 있는 행 제외)
-e : 제어 문자를 '^' 형태로 출력하면서, 각 행의 끝에 '$' 문자 추가
-n : 화면 왼쪽에 행 번호 출력(비어 있는 행 포함)
-s : 연속되는 2개 이상의 빈 행을 한 행으로 출력
{head}
파일의 처음 행부터 지정한 줄 수만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head [옵션] [설정값] [파일명]
옵션
-c : 처음부터 'Kbyte' 단위 출력
-n : 처음부터 'n' 행까지 출력
-q : 파일 이름을 헤더에 출력하지 않음
-v : 파일 이름을 헤더에 출력
{tail}
파일의 마지막 행부터 지정한 줄 수만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tail [옵션] [설정값] [파일명]
옵션
-c : 마지막부터 'Kbyte' 단위 출력
-f :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실시간으로 연속해서 출력
-F :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실시간으로 연속해서 출력하며, 로그 파일처럼 특정 시간이 지난 후 파일이 변동하게 되면 새 로운 파일을 출력
-n : 마지막 줄부터 'n' 행까지 출력
-n +n : '+n' 번째 줄 이후부터 출력
--byte : 'n' 바이트 만큼 출력
{more}
- 파일의 내용을 화면 단위로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 화면의 위에서 아래로만 이동할 수 있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more [파일명]
옵션
b : 한 화면씩 앞으로 이동
n:/문자열 : 지정한 문자열 검색
q : 종료(나가기)
v : 현재 열려져 있는 파일 위치에서 vi 편집기 실행
= : 현재 위치의 행 번호 출력
[Enter] : 한 행씩 아래로 이동
[Space Bar] : 한 화면씩 아래로 이동
{less}
- 파일의 내용을 화면 단위로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 화면의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less
옵션(이동 키)
-c : 전체화면 갱신
-i : 대, 소문자 구분하여 검색
-s : 연속되는 공백 행은 하나의 행으로 출력
-x : 수치를 지정해서 탭 간격 조정
q : 종료(나가기)
행 번호 : 지정된 행 다음부터 출력
↑ : 한 행 위로 이동
↓ : 한 행 아래로 이동
[Page Up] : 한 화면 위로 이동
[Page Down] : 한 화면 아래로 이동
[Enter] : 한 행 아래로 이동
[Space Bar] : 한 화면 아래로 이동
{grep}
- 파일 안에서 지정한 패턴이나 문자열을 검색한 후 그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행을 표준 출력한다.
- 한 디렉터리 안에서 지정한 패턴을 포함하는 파일을 출력할 수도 있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grep [문자열] [옵션] [파일명]
옵션
-c : 패턴이 일치하는 행의 수 출력
-i : 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l : 패턴이 포함된 파일 이름 출력
-n : 행 번호 출력
-v :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행만 출력
-w : 패턴이 전체 문자열과 일치하는 행만 출력
{wc}
파일 안의 행, 단어, 문자수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c [옵션] [파일명]
옵션
-c : 문자 개수 출력
-l : 행 개수 출력
-w : 단어 개수 출력
{sort}
명령어 수행 결과나 파일 내용을 정렬하여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sort [옵션] [파일명]
옵션
-b : 선행 공백 무시
-c : 정렬 여부 검사
-f : 대, 소문자를 구별하지 않음
-m : 정렬된 파일 병합
-n : 숫자로 한정하여 정렬
-o : 지정할 파일명 지정
-r : 역순(내림차순)으로 정렬
-R : 해시값을 기준으로 랜덤하게 정렬
-t : 필드 구분자 지정
-u : 정렬 후 중복된 내용 제거
{cut}
파일에서 특정 필드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ut [옵션] [파일명]
옵션
-b : 바이트 단위 지정
-c : 문자 단위 지정
-d : 필드 구분자를 TAB 대신에 DELIM 사용
-f : 지정한 필드만 출력
-s : 필드 구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행은 출력하지 않음
{split}
하나의 파일을 여러 개의 파일로 분할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split [옵션] [파일명]
옵션
-a : 접미사의 길이 지정
-b : 바이트 단위 분할
-l : 행 수로 분할
--additional-suffix : 확장자명 지정
파일 내용 비교 명령어
{diff}
- 두 개의 파일을 비교하여 다른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 실행 결과 차이점이 없다면 0, 차이점이 있다면 1, 에러 상황이라면 2 이상의 값을 반환한다.
- 'diff3' 명령어는 파일을 3개까지 비교하여 차이점을 출력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diff [옵션] [파일1] [파일2]
옵션
-b : 연결되는 공백을 무시
-c : 두 파일 내용의 차이점을 출력
-d : 두 파일의 차이점을 상세히 출력
-i : 대, 소문자 구별하지 않음
-r :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까지 비교하여 출력
-s : 두 파일의 차이점(같을 경우)이 없을 경우 알림
-t : 출력 행에 TAB 문자 삽입
-w : 모든 공백 무시
{cmp}
두 파일을 바이트 단위로 비교하여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mp [옵션] [파일1] [파일2]
옵션
-b : 두 파일을 비교하여 다른 바이트 수 출력
-i : 최초의 Skip 바이트를 건너뜀
-l : 두 파일을 비교하여 다른 문자의 개수를 출력
-s :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종료 코드만 출력
{comm}
두 파일을 행 단위로 비교하여 차이점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omm [옵션] [파일1] [파일2]
옵션
-1 : '파일1'에만 있는 행은 출력하지 않음
-2 : '파일2'에만 있는 행은 출력하지 않음
-3 : '파일1'과 '파일2'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행은 출력하지 않음
리다이렉션과 파이프
리다이렉션(Redirection)
- 표준 입력과 출력을 재지정하는 기능이다.
- 표준 입력, 출력과 오류를 화면이나 파일로 출력되도록 재지정한다.
- 표준 입력장치는 키보드, 표준 출력장치는 모니터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at [파일1] > [파일2]
옵션
>
- 명령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프린터나 파일로 출력하도록 지정
- 지정한 파일이 존재하면 덮어쓰고,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을 생성
>> : 지정한 파일이 존재하면 명령 실행 결과를 파일에 추가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을 생성
< : 키보드가 아닌 지정된 파일에서 입력 내용을 읽어 옴
>& : 명령의 출력을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보냄
<& : 명령의 입력을 읽고, 다른 명령의 출력으로 보냄
파이프(Pipe)
- 두 개의 명령어를 연결하는 기능이다. 즉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의 통로라 할 수 있다.
- 명령 출력이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 명령어와 명령어의 연결은 ' | ' 기호를 사용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명령어1] | [명령어2] | [명령어3]
세미콜론(;)
- 하나의 명령어 라인에 여러 개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첫 번째 명령이 실패하여도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명령1] ; [명령2] ; [명령3]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ping}
-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와 호스트 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옵션 지정이 없는 경우 연속적으로 명령을 실행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ping [옵션] [IP 주소/도메인]
옵션
-c : 지정한 횟수 만큼 패킷 전송
-d : 소켓이 사용하는 SO_DEBUG 기능 켬
-f : 다량의 패킷을 전송
-i : 패킷 전송 사이에 대기 시간을 지정할 수 있음
-l : 패킷을 전송할 인터페이스 지정
-n : 호스트 이름을 찾지 않고 IP 주소만 찾아 보냄
-r : 패킷을 라우팅 테이블이 아닌 로컬 인터페이스에만 보냄
{traceroute}
- 목적지 호스트까지 경로를 출력하고, 그 정보를 기록하는 명령어이다.
- 목적지 호스트까지 경로에서 장애 구간을 파악할 수 있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traceroute [옵션] [IP 주소/도메인]
옵션
-m : 홉(hop) 수 지정
-n : 호스트 이름 검색을 하지 않음
-p : 시작 포트 번호 지정
-q : 패킷 수 지정
-w : 타임아웃 시간 지정
{nslookup}
도메인 이름으로 IP 주소를 조회하거나 IP 주소로 도모ㅔ인 이름을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nslookup [-type=record] [IP 주소/도메인]
레코드 유형
-type
- a : IPv4 주소 지정
- aaaa : IPv6 주소 지정
- mx : 메일서버 지정
- ns : 네임서버 지정
- soa : 도메인에 대한 선언 부분
- srv : 특정 서비스에 대한 특정 메인 연결
- txt : 도메인 이름을 텍스트 문자열에 매칭
- ptr : 역방향 질의로 IP 주소에 대한 도메인 응답
- cname : 별칭 지정
{dig}
- 'Domain Information Groper'의 약어로 'nslookup' 명령어와 유사하며, 도메인 이름으로 IP 주소를 조회하거나, IP 주소로 도메인 이름을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 DNS 서버 구성과 도메인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입장에서 설정한 도메인 이름에 대한 DNS 질의응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 점검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dig [@server] [query-type] [query-class]
옵션(query-type)
@server : 질의를 위한 DNS 서버 지정. 만약 네임 서버를 명시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resov.conf'에 있는 네임서버에 질의를 시도
domain : 질의 대상 도메인 또는 호스트 이름
type : 질의에 사용할 Resource Record 타입(ANY, A, AAAA, NS, MX, SOA, HINFO, TXT, AXFT 등)
유형(type)
a : IP 주소 정보
any : 지정된 도메인의 모든 정보/임의 정보
mx : 메일서버 정보
ns : 네임서버 정보
soa : 도메인에 대한 선언 부분
hinfo : 호스트 정보
axft : 'Zone Transfer'(특정 네임 서버의 질의)
txt : 도메인 이름을 텍스트 문자열에 매칭
zone transfer : 해당 도메인의 'Zone'에 대한 복사본을 얻기 위해, 'Primary Name Server'로부터 'Zone'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오는 작업을 'Zone Transfer'라고 함
{host}
- DNS 서버를 이용하여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 호스트 이름을 이요하면 하위 도메인도 조회할 수 있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host [옵션] [도메인/IP 주소] [DNS 서버]
옵션
-a : -t any와 같은 기능
-d : 디버깅 모드로 출력
-l : zone 이하 모든 정보 출력
-r : 반복 처리를 하지 않음
-t : type을 지정하여 정보를 조회
-w : DNS 서버의 응답을 기다림
{hostname}
- 호스트 이름을 확인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hostname [옵션] [파일명]
옵션
-a : 별칭 이름 출력
-d : 도메인 이름 출력
-f : FQDN 출력
-F : 지정한 파일에 호스트 이름 설정
-i : 호스트의 IP 주소 출력
-s : 짧은 형식의 호스트 이름 출력
-y : NIS 도메인 이름 출력
4. 기타 명령어
{date}
시스템의 날짜를 출력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date [옵션] [MMDDhhmm[CC][YY][.ss]] 또는 date [옵션] +FORMAT
{rdate}
원격지의 타임 서버에서 시간 정보를 가져와 로컬 시스템의 시간과 동기화하는 명려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rdate [옵션] [타임 서버 IP 주소/도메인]
옵션
-4 : IPv4 주소만 사용
-6 : IPv6 주소만 사용
-o : 지정한 포트로 연결
-p : 호스트 정보만 출력하고, 설정은 하지 않음
-s : 설정만 하고, 호스트 정보는 출력하지 않음
-u : TCP 대신 UDP 사용
-v : 상세한 정보 출력
{cal}
달력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al [옵션] [연도]
옵션
-j : 율리우스력 출력(해당 연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며칠인지 출력)
-y : 현재 연도기준 모든 월(달) 출력
{time}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을 출력하는 명려어이다.
{tty}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 장치의 경로와 파일명을 출력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tty
{clear}
터미널 화면을 모두 지우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lear
{wall}
현재 로그인된 모든 사용자에게 터미널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all [메시지]
{write}
- 지정된 사용자에게만 메시지를 전송하는 명령어이다.
- 행 단위로 다른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write [사용자명] [tty명]
{mesg}
'mesh' 명령은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mesg [y/n]
'리마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자격증 공부 [파일] (4) | 2024.01.25 |
---|---|
리눅스 마스터 2급 자격증 공부 [명령어 모음] (2) | 2024.01.23 |
- Total
- Today
- Yesterday
- 기본 명령어
- XAMPP설치
- PHP 문법
- 피자나눠먹기1
- 나머지구하기
- 더 메뉴
- 피자나눠먹기2
- OSI 7계층
- visualcode
- 개발환경구축
- TCP/UDP
- PHP 개발환경
- 메타스플로잇
- 프로그래머스
- kali
- LVM
- 리눅스마스터2급
- 리마2급
- 피자나눠먹기3
- 파이썬
- 아파치
- 리눅스
- 기본문법
- VS Code
- 중앙값구하기
- 리눅스마스터
- XAMPP
- 네트워크
- php
- 짝수는싫어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